뭘 이런걸..

Posted
Filed under Tech/프로그래밍
요즘 하는 일이 Linux Server 들에 대하여 Active Directory 와 인증 통합을 하는 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물론 kerberos 나 ldap 을 이용해서 Linux Server들의 인증을 하는 것은 아니고, Windows 2003 R2 에 Server For Unix 의 NIS password entry 를 받아와서 Linux NIS server 를 운영하게 하는데, 이 과정에서 AD 정도 변경이 실시간으로 Linux NIS Server 로 반영이 되게 하기 위해서 관리 tool 을 만들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PHP Ldap API를 이용하여 Active Directory 를 관리하는데, 다른 정보를 변경하는 것은 별 무리가 없으나, Active Directory 의 Password 를 변경할 경우, AD에서 ldap ssl 로 연결을 할 경우에만 Password 변경이 가능 합니다. 이 부분 때문에 엄청난 삽질을 하게 되었습니다. 뭐 기본적으로 ldap 에 대한 지식이 별로 없었던 것이 삽질의 가장 주된 원인이기는 했지만, 검색에 걸린 대부분의 문서들이 ldap 에 대한 지식이 있다는 가정하에 설명을 하다보니 미치고 환장하겠더군요 ^^;

각설하고, 여기에서는 Active Directory 의 Password 변경이 가능하도록 PHP에서 Ldap SSL 로 연결하는 것에 대한 설명을 하고자 합니다.

기본적인 전제 조건으로는, Windows 2003 에 Active Directory Domain controller 가 구성이 되어 있고, 이 서버에서 Ldap SSL (ldaps://) connection 이 가능하도록 설정이 되어 있다는 가정하에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Domain controller 에 Ldap SSL 을 설정하는 것은 googling 으로 쉽게 찾을 수 있으므로.. 생략 하도록 하겠습니다.

1. Client 에서 사용할 CACERT 인증서 생성

Domain controller 에서 사용되는 인증서를 "DER로 인코딩된 X.509 바이너리(.CER)" 로 export 를 합니다. export 한 CA 인증서를 Unix 서버로 이동한 후에, 다음의 명령으로 .pem file 로 전환을 합니다.

shell> openssl x509 -in cacert.cer -inform DER -out cacert.pem -outform PEM


2. PHP Ldap Extension 확인

phpinfo() 함수를 이용해서, ldap extension 이 지원되는지와, ldap 에서 SASL 지원이 되는지를 확인 합니다.

LDAP Support => enabled
RCS Version => $Id: ldap.c,v 1.161.2.3.2.13 2008/05/04 21:19:17 colder Exp $
Total Links => 0/unlimited
API Version => 3001
Vendor Name => OpenLDAP
Vendor Version => 20327
SASL Support => Enabled


3. Coding

Active Directory 에서 AD Password 는 unicodePwd 라는 entry 에 UTF16 형식의 plain text 를 입력을 해 주면 됩니다. 이 의미는 abcd 를 입력하려면 'a\000b\000c\000d\000' 과 같이 입력을 하면 된다는 의미 입니다.

간단하게 코드의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이 생성할 수 있습니다. (단 주의할 것은 ASCII 범위 밖의 문자열을 입력하시면 안됩니다.)

<?php
function make_ad_passwd ($pass) {
$pass = '"' . $pass . '"';
$len = strlen ($pass);

for ( $i=0; $i<$len; $i++ )
$newpass .= $pass[$i] . "\000";

return $newpass;
}
?>



그럼, AD password 함수를 변경하는 코드의 예를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코드에서 중요한 것은, 또는 다른 문서에 나오지 않는 내용은, unicodePwd entry 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ldap ssl 연결을 사용해야 한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SSL 연결을 위한 인증서 설정 입니다.

<?php
# SSL 로 접속을 해야 하기 때문에 ldaps:// protocol 을 사용한다.
$host = "ldaps://ad.domain.controller.com";
# ldaps 의 기본 포트는 636 을 사용한다.
$port = "636";
# 인증서 설정
$certfile = '/some/path/cacert.pem';
# default DN
$defaultdn = 'domain_manager@DOMAIN.NAME.COM';
$accesspw = 'password_of_domain_manager';
# 관리 OU
$ou = "OU=Users,DS=DOMAIN,DS=NAME,DS=com"

$username = $argv[1];
$userpass = $argv[2] ? $argv[2] : 'abcd';

if ( ! $username ) {
echo "ERROR: You must input changed username on argv[1]\n";
exit 1;
}

#
# system 의 ldap 설정을 건드리지 않고 하기 위해서 다음의 환경 변수를 설정한다.
putenv ('LDAPTLS_REQCERT=never');
putenv ("LDAPTLS_CACERT={$certfile}");

$ldap = ldap_connect ($host, $port);

if ( $ldap === false ) {
echo "ERROR: connect failed to $host\n";
exit 1;
}

$bind = @ldap_bind ($ldap, $defaultdn, $accesspw);
if ( $bind === false ) {
echo ldap_error ($ldap) . "\n";
exit 1;
}

$filter = "(samaccountname={$username})";
$result = ldap_search ($ldap, $ou, $filter);
ldap_sort ($ldap, $result, 'sn');
$info = ldap_get_entries ($ldap, $result);

for ( $i=0; $i<$info['count']; $i++ ) {
echo "You are changing the password for " .
$info[$i]['givenname'][0] . ", " .
$info[$i]['sn'][0] . " (" .
$info[$i]['samaccountname'][0] .
") to {$userpass}\n";

$userdata['unicodePwd'] = make_ad_passwd ($userpass);
$result = ldap_mod_replace ($ldap, $info[$i]['distinguishedname'][0], $userdata);

if ( $result === false )
echo "There was a problem changing your password, please call IT for help\n";
else
echo "Your password han been changed!\n";
}
@ldap_close ($ldap);
?>
2009/01/28 21:50 2009/01/28 21:50
장재혁

안녕하세요 포스트 보고 질문 드립니다.

389포트를 사용시 Bind는 잘되는 걸 확인했는데

636포트 사용시 바인드가 안되서 서치를 할 수 가 없네요.

일단 윈도우 AD 서버이고 인증서는 .pfx 를 사용했는데 pem을 꼭 사용 해야 하는지와

defaultdn, accesspw 은 AD서버 관리자께 필요한 것인가요?

변경할 AD의 아이디 패스 워드로는 변경 할 수 없는건가요?

초보 개발자가 여쭤봅니다 ㅠㅠ

김정균

일단 bind 문제는 답변을 하기가 쉽지 않네요. AD 에서 ldaps:// protocol 을 받아 주는지 확인이 되었나 부터가 우선이 되어야 해서요.

그리고, 인증서는 저의 경우에는 PEM 형식만 가능 햇습니다. 문서들에서 PEM 형식으로 변환하라고 되어 있었고요.

그리고, defaultdn, 과 accesspw 가 고정되어 있는 이유는, 위의 스크립트의 목적이 각 개별 사용자가 암호를 변경하기 위한 목적이 아니라, 전체 리스트를 관리를 하는 것이 목적이기 때문에 super user 의 권한을 가진 ldap 계정을 지정해 놓은 것입니다.

각 계정별로 자신의 password를 수정하는 것이라면 각 계정의 dn와 pw를 이용해도 무방합니다. 단, 자기 자신의 것만 수정이 가능 하겠죠.

이승환

필자님의 조언 너무 감사합니다.

제가 공부해야 할 부분이 너무 많은것 같지만 필자님 덕에 하나하나 발전하고 있습니다.

혹시 궁금한 점이 있으면 부담없이 여쭈어 보겠습니다. ^^;

이승환

담변 감사합니다.

SFU 3.0를 간단히 테스트해보았습니다. 테스트하면서 글을 읽으니 많이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그런데 필자님의 글에 다른 의문이 하나 더 생겼습니다.
password sync 이 부분인데요 Windows AD의 유저, 패스워드를 어떤 식으로 Linux하고 동기화 시키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예로 생성파일을 user id로 정했다면 UFS를 통해 유저의 ID를 리눅스 시스템 인지하는 것은 어느정도 알겠는데 passwd 부분에서 어떻게 동기화를 시키는지 궁금합니다.
그러므로 사용자의 AD암호만 변경하면 실제로 서비스를 하는 Linux NIS까지 암호가 변경이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자꾸 귀찮게하는것 같습니다. 아직 많이 부족하여 자꾸 질문을 드리게 됩니다.
조언 기다리겠습니다.

이승환
019-445-1813
lucifertear@gmail.com

예)

김정균

너무 대단한 작업으로 생각 하시는 것 같습니다. :-) sync 는 간단하게 Linux NIS 에서 ypcat 으로 AD의 NIS entry 를 가져와서 파싱하여 Linux NIS entry 를 새로 생성하는 것 뿐입니다. 즉 AD의 NIS entry 에서는 userid/passwd field 만 사용하고, 나머지 정보는 Linux NIS 서버에서 알아서 취급을 한다는 의미입니다.

현재는, ypcat 을 사용하지 않고, Linux NIS 서버에서 LDAP 으로 AD의 SFU entry 들을 가져와서 NIS entry 를 만들고 있습니다. ^^;

이승환

안녕하세여.. 지금 LDAP을 공부하고 있는데 궁금한 점이 있어 여쭈어 보려합니다.

Windows AD군과 Linux LDAP 연동인지를 알고 싶습니다.

글에 보면 Windows 2003 R2에 있는 Unix passwd entry 받아와서 Linux NIS server

로 운영하신다하셨는데 아직 제가 부족해 이해가 좀 힘드네요

김정균

Windows 2003R2 부터는 MS 예전에 application 으로 제공해 오던 Service For Unix (SFU) 를 service 로 제공합니다. 그래서 SFU에 있는 NIS를 이용해서 AD에서 NIS service 를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SFU의 NIS의 문제가 AD entry 에 multibyte 문자가 존재할 경우 예를 들어 CN 값을 한글 이름으로 지정할 경우, 관리툴에서 Unix Attribute tab 의 활성화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power shell 로 CN부분을 id와 동일하게 넣고선, Linux 에서 AD의 nis entry 를 받아와서 CN부분을 LDAP으로 값을 가져와서 복구시킨 후에 Linux NIS 에 entry 를 생성하는 방식을 사용한 것입니다. 즉, AD의 NIS는 password sync 를 위해서만 사용을 하고, Linux NIS가 실제 NIS 서비스를 하는 셈이 되는 것이죠.

이렇게 구성하면 사용자 입장에서는 AD의 암호만 변경을 하면 NIS까지 같이 변경이 되니 2군데 암호를 변경할 필요가 없게 되는 것이고요. 그리고 이렇게 이원화를 해 놓으면, OU별로 별도의 NIS entry 를 구분할 수 있는 점이 이런 설계를 가져오게 된 것입니다. 즉, 이 문서에서의 LDAP은, Linux NIS 에서 AD에서 가져온 entry 를 복구하기 위하여 사용을 하는 꽁수 때문에 작성이 된 것입니다.

Posted
Filed under 주절주절
2008.12.28 ~ 2008.12.30 2박 3일간 오크밸리를 다녀왔습니다. 여행을 가기만 하면 wife 랑 싸웠었는데, 이번에는 싸우지 않고 2박 3일을 잘 버텨냈네요. --; 아무리 익숙해 지려고 해도 쉽지 않은 일입니다.

겨울 ski season 이라서 그런지 역시 방은 만땅이고, 신문지상에서는 연일 "불황"을 떠들지만, 분위기는 전혀 상관이 없는듯 하게 보였습니다. (다른 사람들의 눈에 저도 그렇게 보일지 모르겠지만 ^^)

차안에서 쫑아

가는길 차인에서 쫑아



애 보기가 힘들어 거금을 들여서 6시간 1:1 강습을 맡겨 버립니다. :-)

1:1 ski 강습 준비 중

1:1 ski 강습 준비 중



콘도 안에서 한 컷..

사진 보기..



엄마랑 군이랑 ski 를 타요

사진 보기..



유모자에서 쫑아

엄마랑 군이는 ski 타러 가고, 아빠랑 쫑아만 남아서 기다립니다.

유모차에 바람막이(원래 용도는 우비)를 씌워서 바람을 막고, 혹시나 바람이 들어갈까봐 엄마 코트로 덮어 씌우는 센스..

표정이 썩 좋지는 않습니다.

간단하게 오크 밸리 ski course 를 소개해 봅니다. 취향에 따라 다를 수 있으니..

초보자 코스

초보자 코스



오크 밸리의 교습은 대략 30분 정도 밑에서 하고, 바로 리프트를 타고 초보자 코스로 올라가서 진행을 합니다. 군이 강습시에 그 말을 듣고선 될까 생각을 했었는데, 다녀온 wife 말로는 장난 아니게 완만하다고 합니다. 가속이 거의 없다 시피 하다고 하는 군요. 좀 타시는 분들에게는 최악의 코스이고, 아주 겁이 많으신 분들에게는 최적의 코스가 아닐까 싶습니다.

중급자 코스

중급자 코스



제가 가본 유일한 스키장이었던 알프스와 비교해 보자면, 알스프의 regular 코스 정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초급자와 중급자 사이의 약간 애매한 정도?

상급 코스

상급 코스



산꼭대기에 있기는 하지만 역시나 다른곳의 상급자 코스와는 확연히 차이가 납니다.

오크 밸리의 경우, 중급자 코스만 되도 리프트가 한산합니다. 상급 코스의 경우에는 거의 사람이 없고요. 그러므로 중급 레벨이라고 생각 되시는 분들은 오크밸리의 상급 코스에서 즐기시면 우질라게 즐기실 수 있을 듯 싶습니다. 다만, 가장 단점은 모든 코스가 한 지점에서 합쳐진다는 점입니다. 이건 좀 설계 미스 인듯.. 그렇다고 해서 박터지게 미이지는 않기 때문에 대충 잘 피해서 간다면 크게 무리는 없어 보입니다.

밖에서 엄마랑 군이랑 기다리다가 쫑아가 너무 추워해서 유아 휴게실로 피신을 합니다. 유아 휴게실의 경우 36개월 이상 부터 만 5세까지 이용 가능하며, 36개월 이하는 보호자 동반으로만 가능합니다. (즉 36개월 이상은 알아서 노니까 나두고 가고, 36개월 미만은 문제의 소지가 많으니 알아서 봐라.. 이거죠.)

사진 보기..

2008/12/31 03:18 2008/12/31 03:18
Posted
Filed under Tech/프로그래밍
오랜만에 JSBoard 와의 조우를 하고 있습니다. 회사일 때문에 JSBoard는 이제 거의 뒷전으로 밀린 상태였는데 (안녕 리눅스도 회사일에 밀리는 판국에 JSBoard 야 더 할말이 없겠죠 ^^) 제가 관리해 주고 있는 서버의 계정에서 방치된 JSBoard의 스팸을 보니 갑자기 오기가 나더군요.

어떤 게시판이라도 방치를 해 놓으면 어쩔 수 없겠지만, JSBoard 야 하물며 요즘의 스팸 attack 에는 제대로 대응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없으니 더 하겠죠. 이 문제 때문에 제 주위에도 JSBoard 사용을 포기하신 분들을 꽤 많이 봐 왔음에도 불구하고 직접 보니 확 다가 오네요 :-)

JSBoard .. 분명 제게서는 이미 관심사에서 멀어진 작품이기는 합니다. 더 이상 개발의 이슈도 없었고, 웹 프로그래밍이 제 주 전공 분야가 아니다 보니, 다른 프로젝트로 전환을 하지 못해 어떻게 보면 시대에 뒤떨어진 작품이 되고 말았습니다.

JSBoard last release



위의 이미지 같은 안습에, 마지막 릴리즈도 2년전이니.. 한 때는 정말 나름 웹을 풍미하던 프로그램이 이제는 그저 명맥만 유지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도 나름 제가 만든 프로그램이라는 책임하에 보안버그 fix 와 아래 로그와 같이 release 는 되고 있지 않았지만 개발은 꾸준히 명맥을 이어오고는 있습니다.

JSBoard 2 Changelog



JSBoard 2 외에 JSBoard 2.1 tree 도 계속 진행 중이지만 아직 생각해둔 기능들을 미처 추가를 하지 못해서 release 는 까마득 하고.. (그래도 기능 추가 외에는 JSBoard 2 만큼의 안전성은 가지고 있다고 생각 됩니다.)

그래서 모처럼 JSBoard 에 시간 투자를 해 보았습니다. 우선적으로 스팸에 어느정도는 항거해 보고자, 먼저 Captcha image 를 지원하도록 수정을 했으며, 몇몇 스팸 관련 기능을 수정하였고, 예전의 JSBoard christmas release 를 올해 한번 해 보려고 시간을 조금씩 투자를 해 보려고 합니다.

올 12월 25일에는 JSBoard 2.0.14 를 기다리는 사람은 없겠지만 한번 release 해 볼까 합니다. ^^;
2008/12/05 01:42 2008/12/05 01:42
EcusE

JSBoard 오랜만에(?) 새 릴리즈 메일을 받고 감회(?)가 새롭더군요.
지금은 XE로 몽땅 이전한 상태라 JSBoard는 한구석에서 그동안 쌓였던 글들을
보관만 해주고 있습니다. 그녀석도 업그레이드 해줘야 겠네요 ^^
한해 마무리 잘하시고 건강하세요. :)

김정균

흐.. 겨우 시간 맞춰서 등록을 했습니다. 마눌님가 아기의 공습을 피해서 겨우겨우 시간을 맞추었네요. 2008년에도 어김없이 Christmas version 을 릴리즈 했습니다.

kss

기대해 볼께요~~ ^^

Posted
Filed under Tech/Mozilla
현재 회사에서 하고 있는 일 중의 하나가 Windows 와 Linux 간의 인증 통합입니다. 물론 Windows Active Directory 가 구성이 되어 있고, intranet 이 Exchange 환경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 관계로 인증의 주체는 Active Directory 이고, Linux/BSD 서버들이 Active Directory 의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authentication 을 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현재의 대충 구조도는 다음과 같습니다.

AD+NIS 구성도



일단 Active Diretory 의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1. Windows 2003 R2 2. Active Directory 구성 3. SFU 3.0 NIS Service 구성


그리고, Active Directory 및에 Linux NIS 가 AD 서버의 NIS 에 client 로 붙습니다. 이런 이중적인 구조로 붙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습니다.

1. 서버군 별로 group 관리를 하기 위한 AD 권한 위임 문제 2. SFU 에서 Multibyte 가 입력이 되지 않는 문제 3. SFU 의 Unix Attribute Tab 이 자동으로 활성화 되지 않는 문제


등등이 있습니다. 그래서 그림의 AD 사이의 1번 도형이 위의 1/2 번 문제가 발생해서 생기는 구조이고, 3번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2번 도형과 같이 NIS서버에서 openldap 을 이용해서 AD의 Unix Attribute tab 을 활성화 시키고, AD 서버에 NIS password entry 를 생성시키고 등등의 작업을 한번에 처리 가능하도록 한 모델입니다.

이 작업이 종료되고 나면, 회사와 일반에 해당 모델을 공개할 예정입니다. 한번 기대해 보실만도.. :-)

각설하고, 제목과 상관없이 다른 얘기만 진행이 되었는데, 이 인증 통합작업을 하는 과정 중에서 가장 문제가 되었던 부분이 Firefox 에서 AD SSO 연결이 매끄럽지 못하게 진행이 된다는 것입니다. 즉 IE 에서는 SSO button 만 클릭하면 그냥 로그인이 되는데, Firefox 의 경우에는 인증 창이 뜨고, 인증 정보를 입력을 해 줘야 하는 (기존의 로그인과 동일한..) 과정을 처리해야 한다는 문제였습니다. 그래서 처음에는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NTLM 인증을 요청하면 Domain login 크리덴셜을 넘겨줄 수 있는 Firefox Extension 을 제작하려고 했으나.. 결국에는 방법을 찾아내고 말았습니다.

  1. 일단 Firefox 를 실행 합니다.
  2. 주소줄에 about:config 를 입력합니다.
  3. FF3 의 경우에는 "고급 환경 설정 기능" 어쩌구 하면서 경고 화면이 나올 수 있습니다. 사뿐이 동의해 주세요.
  4. 필터(I)줄에 "network.automatic-ntlm-auth.trusted-uris" 문자열을 입력합니다. 그러면 하단에 해당 설정이 출력 됩니다. 출력된 라인을 더블 클릭 합니다.
  5. 더블 클릭을 하면 입력창이 하나 뜨게 됩니다. 여기에 NTLM 인증을 요청하는 웹 사이트를 입력합니다. 예를 들어 ADS 서버를 사용하여 SSO를 구현한다면 "http://ads.mycompany.com" 과 같이 등록 합니다. 여러개의 사이트를 등록 할 때는 ','를 구분자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6. SSO 가 구성된 사이트로 이동하여 사뿐이 접속해 봅니다.
  7. Domain에 가입되지 않은 PC는 소용이 없다는 것 정도는 아시겠죠 ^^


이로서 전 완벽한 AD + Linux 인증을 구성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를 위해서 따로 개발한 리스트로는..

Apache NIS module
Lighttpd NIS module
PHP Active Directory Pear package (With Ldap)
Extended Access PAM module

등등등.. 이 있네요 :-)
2008/11/07 03:02 2008/11/07 03:02
냠냠

시간 제대로 들여서 제대로 된 녀석이 나올 것 같아요!!

Rhea君

ㅋㅋㅋ 여기가 정균님 블로그였군요!
잘 둘러보다 갑니다. :D

Posted
Filed under Tech/프로그래밍
얼마전 우연히 RoundCube Webmail 이라는 걸 알게 되어 0.10statble 버전을 설치해 보았습니다. 일단 설치해 본 결과 상당히 깔끔하다는 인상을 받았는데.. stable 이라는 버전에 맞지않게 버그들도 좀 보이더군요.

기타 등등 각설하고, 일단 가장 큰 문제는 한글이 깨지는 문제가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잘 나오는 메일도 있겠지만,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것은, 메일의 헤더나 multi-part 의 header 에 charset 이 지정되지 않았을 경우, RoundCube 가 charset 을 US-ASCII 로 강제 하는데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더 정확히는 RoundCube 가 US-ASCII 로 처리하는 것이 아니라 imap server 가 그렇게 처리하게 됩니다. (이건 wu-imap 에서의 문제입니다. 다른 imapd 에서는 어떨지 모르곘군요.)

wu-imap package 를 사용하시는 분들이나 charset 이 지정되지 않은 경우 메일이 깨지면 다음의 patch 를 해 보시기 바랍니다.

0.1 patch file

0.1.1 patch file


P.S.
patch file 을 잘 보시면 main.inc.php 에

$rcmail_config['default_charset'] = 'euc-kr';

와 같이 지정하는 것이 있습니다. 이걸 지정해야 charset 이 없을 경우 기본 charset 으로 처리하게 됩니다.
2008/10/01 02:26 2008/10/01 02:26
조현철

이 쓰레드가 여기까지나 진행이 되었네요... ^^
예전 포스팅한 글을 보고 다람쥐를 내리고 RoundCube를 올렸었는데..
한글등 여러 문제로 사용하지 않고 있었는데요..

날로 먹는 기분이네요.. 고생해주신 덕분에 감사히 잘 사용토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살라딘

답변 감사드립니다..

귀중한 시간을 빼앗은것 같아 대단히 죄송합니다.

제출한 patch를 적용해보니 문제 없이 잘되네요...
많은 도움 얻어 갑니다.

살라딘

여기 저기 찾아가며, 설치는 했는데 여러가지 문제가 많네요...
그래서 도움 좀 구하고자 합니다...

현재 설치 버젼은 trunk-r1993 입니다.

문제1. roundcubemail에서 메일을 보내고 Outlook Express에서 회신을 하게 되면...
회신 내용이 roundcubemail에서 깨져 보이네요..(헤더 정보를 보면 UTF-8로 보내서 UTF-8로 받는데...그리고 MS-Outlook에서 회신하게 되면 roundcubemail에서 깨져 보이지 않습니다. Outlook Express만의 문제인것 같습니다만...)

문제2. 최신 버젼은 아래와 같이 main.inc.php 파일에 설정하는 부분이 있습니다.
0, 1번 설정에 대해서는 파일첨부하여 보낼시 한글파일명이 깨집니다.
그리고 2번 설정에 대해서는 긴파일명(한글)에 대해서 깨집니다.

// Encoding of long/non-ascii attachment names:
// 0 - Full RFC 2231 compatible
// 1 - RFC 2047 for 'name' and RFC 2231 for 'filename' parameter (Thunderbird's default)
// 2 - Full 2047 compatible
$rcmail_config['mime_param_folding'] = '설정번호'

위 2문제로 낑낑대고 있는데...잘안되네요. 도움좀 부탁드립니다.

김정균

첫번째 OE 가 보낸 메일을 못 읽는 것은 UTF8 BOM 때문입니다. 보통 Unix 군에서는 UTF8 BOM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하고 있는데, MS의 몇몇 application (특히 notepad) 들이 BOM code 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OE가 UTF-8 encoding 을 할 때 BOM code 를 넣는 것 같군요. 일단 BOM code 제거를 하니 제대로 출력이 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두번째 문제도 수정을 하기는 했습니다만, 패치를 받아 줄지는 모르겠군요. 딱히 버그라고 할 수도 없고, RFC2047에 보면 encoding 된 문자열이 75byte 가 넘지 않아야 한다고 되어 있어, roundcube 에서는 75자가 넘어갈 경우 그냥 뒤를 버려 버리므로서 발생하는 문제입니다. rfc2047에 의거하면, 75자가 넘을 경우, carrage return, new line, space를 이용해서 그 이후의 string 을 연결하면 된다고 되어 있어, 이렇게 수정해서 패치를 제공하기는 했습니다만.. 받아 들여줄지는 저도 보장은 못하겠습니다. :-)

일단, 두가지 문제에 대해서 patch는 제출한 상태이니 기다려 보시기 바랍니다.

오늘 하루 꼬박 날라갔군요. 앞으로는 더 이상 roundcube 문제 해결에 관여하지 않을 생각 입니다. roundcube 의 code 가 엄청나게 복잡한 관계로 문제가 되는 부분을 찾는데 걸리는 시간이 대부분이다 보니 회사에서의 눈치가 장난이 아닙니다. 제가 roundcube 를 굳이 사용하는 입장도 아닌 상황에서 무상 지원은 쉽지 않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더 중요한 것은 끝이 없어요 T.T 저는 봉이 아니랍니다. ^^

김정균

http://trac.roundcube.net/ticket/1484961 에서 거부당했던 패치의 ticket 이 다시 열렸습니다. 0.2 에서 해당 내용이 많이 반영이 되었는데, 아직 좀 부족한 편입니다.

일단, charset 에 상관없이 charset 이 잘못 출력될 수 있는 버그 2개에 대한 패치를 제공한 상태이며, 여전히 body 에 charset이 지정되지 않았을 경우, IMAPD 가 US-ASCII나 X-UNKNOWN을 리턴해서 발생하는 부분은 여전히 고쳐지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패치를 다시 제출한 상태인데, 잘 받아들여질지는 모르겠군요.

다만, 해당 ticket 에 제시된 이미지들이 좀 낯뜨거운 이미지들이군요.. ^^; sample 제출을 잘 못한듯.. ㅋㅋ

김정균

Message body 에 charset 이 지정되지 않았을 경우가 문제가 되고 있네요. 개발자들이 사용하는 imapd 인 Courier의 경우에는 charset 이 지정되어 있지 않을 경우 NIL을 return 하기 때문에 제대로 보이는데, Cyrus-imapd 나 Wu-imapd 의 경우에는 US-ASCII 나 X-UNKNOWN을 return 하기 때문에 깨지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이 부분에 대한 조율이 쉽지 않네요. 쩝.. 0.2 에서는 이 문제가 해결이 되어 나올지 쉽지 않은 문제인것 같습니다.

문제가 하도 많아서.. SSL 모드시에 헤더 출력 부분은 현재 무시된 상태이고, 리스팅에서도 CHARSET을 가진 제목이 있을 경우 다음 나오는 제목이 CHARSET이 없을 경우 이전의 CHARSET 이 유지되는 문제도 있는데 역시 묻히고 있는 듯한 기분이 ^^;

안되는 영어로 하려니 저도 힘들고.. 보는 사람도 힘들지 않을까 예상 됩니다. ㅋㅋ

조셀

답변 감사합니다.
덕분에 메일부분은 잘 정리 된듯합니다.
많은 지식을 얻어 갑니다. ^_^

앞전에 적으신 "안녕리눅스 틈새 시장노린다~" 라는 글에 많은 도움 얻었습니다.
이번엔 freeradius + pptpd(poptop) + mysql + dialup_admin 연동하고 OpenWRT(DD-WRT)를 이용하여 공유기를 VPN장비로 사용 할 수 있도록 할 예정입니다.

목표는 공인아이피 대역을 공유기로 내려주고 공유기에서 각 할당된 공인아이피를 클라이언트로 재분배 하도록 할예정입니다.

제가 지식이 부족해서 많은 도움 부탁드리겠습니다. ^_^

조셀

전달 받은 내용대로 소스를 수정하니, 문제는 해결되었습니다.
전달해 주신 내용을 천천히 읽어 보니...

예전에 제가 해결하지 못한 imap server charset 문제로 결론을....

예전에 vpopmail + procmail 연동을 해서 "한글"로 차단을 하여 사용을 하였습니다.
아래와 같이 캐릭터 셋을 강제로 변환해서 적용하면 roundcube 웹메일에서 한글로 된 제목 캐릭터가 모조리 다 깨져어요.ㅡㅡ;

뭐 스팸으로 버리지 못했다면 제목을 원복을 해야 하는데...ㅎㅎ

결론은 imap default charset이 있다면 해결 될수 있었다는 답이 나왔는데...

제 느낌으로는 소스 수정으로 procmail 부분까지 해결 될듯 한데요???? 맞는지..?? ^_^

여튼 고생 많으셨습니다.
- 감사합니다 - (_ _);;


[root@ns etc]# cat procmailrc
VIRTUALHOME=`/home/vpopmail/bin/vuserinfo -d $EXT@$HOST`
MAILDIR=$VIRTUALHOME/Maildir/
DEFAULT=$MAILDIR
PATH=/usr/bin:/usr/local/bin:/bin
SHELL=/bin/sh
#LOCKFILE=$HOME/.lockmail
LOGFILE=/var/log/qmail/procmail/procmail.log
VERBOSE=no

:0 Efhw
*^(Subject|From|Cc):.*=\?EUC-KR\?(B|Q)\?
|formail -c | /usr/bin/hcode -dk -m

:0 Efhw
*^(Subject|From|Cc):.*=\?ks_c_5601-1987\?(B|Q)\?
|formail -c | /usr/bin/hcode -dk -m

:0 Efhw
*^(Subject|From|Cc):.*=\?KSC5601\?(B|Q)\?
|formail -c | /usr/bin/hcode -dk -m

:0 Efhw
*^(Subject|From|Cc):.*=\?ISO-8859-1\?(b|B|Q)\?
|formail -c | /usr/bin/hcode -dk -m

:0 BfHw
*^*.filename=.*=\?euc-kr\?(B|Q)\?
|formail -c | /usr/bin/hcode -dk -m

:0
*^Subject: .*(\{광|\[광|\(광|포르노|포X노|광고|광\ 고|홍보|광-고|성인|최저이자|기록\ 안남아요|대출|광1고|廣告|sex|SEX|porno)
/dev/null

*^Subject: .*대박
/dev/null

김정균

이건 procmail 의 변환 문제와는 별개 입니다. header 에 charset 이 정의 되어 있느냐 안되어 있느냐의 문제이기 때문입니다. 정의가 되어 있다면 수정하지 않은 roundcubemail 이 잘 처리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문제가 되는 것은 charset 이 정의 되어 있지 않은 메일까지 처리를 하려고 하다 보니 이런 문제가 발생을 하는 것이죠.

원래, MUA를 이용해서 정상적으로 메일을 보내는 경우는 거의 깨지지 않을 겁니다. 다만 스팸이나 웹에서 메일 발송 처리를 하는 것들 중에서 메일 파트 구성을 자기 멋대로 하는 경우가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죠.

그래서 그냥 지금 imapd 에 default charset 을 지정하여 무조건 US-ASCII가 나오지 않도록 수정을 해 보고 있기는 합니다. 다른 imapd 는 써 본적이 없어서 고치지는 않겠지만 ^^;

김정균

흠.. roundcubemail 개발자와 bug tracking 을 하다가 좀 안습인 상황인 것을 발견했군요.

일단, 메일을 보낼 때 charset 을 정의해서 보내지 않은 메일을 제대로 뿌려주지 않아도 된다면 (Default charset 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는 경우죠. 위의 02번 패치를 적용하지 않아도 된다면..) 03번 패치가 필요 없습니다. 03번 패치를 하지 않아도 roundcubemail 이 잘 처리를 해 준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charset 이 정의되지 않은 메일 (Imap server 는 이 경우 US-ASCII를 return 합니다. 그래서 깨지는 거죠.) 을 US-ASCII 대신 default charset 으로 처리할 경우, 다른 영역에서 같이 사용하는 부분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더 수정을 하게 되는 것이죠.

프로그래밍 적으로는 위의 패치를 다 적용해서 제대로 하는 것이 맞겠지만, 실제로는 IMAP 서버가 default charset 을 지정해서 없을 경우 US-ASCII 대신 DEFAULT CHARSET 으로 return 해 줄 수 있다면.. 더 좋은 방법일 듯 싶습니다.

즉, 제가 roundcubemail 이 수정한 부분 때문에 영향을 받아서 계속 고치고 있느니 IMAP Server 를 수정하는 것이 더 간단한 일이 되어 버리게 되네요 쩝..

이런 안습인 상황이 나오다니 T.T

조셀

정말 이번 패치를 적용하고 여러가지 테스트를 해보니 다운로드가 잘됩니다. ^_^
정말 감사합니다.

패치를 적용하고 나서 아래와 같은 새로운 문제가 생겼습니다.(_ _);;

## 한글 메일폴더가 깨지는 현상 ##
http://www.zosel.net/tt.jpg

## 설정 화면엔 한글이 정상적으로 출력 됩니다. ##
http://www.zosel.net/tt1.jpg

김정균

음.. 함수를 정말 재활용 많이 하는 군요. --; 마지막 패치에 약간 수정을 해야 할 것 같군요.

roundcubemail/program/include/rcube_shared.inc 의 576라인에서

if ( preg_match('/MSIE/', $_SERVER['HTTP_USER_AGENT'])) {

부분을

if ( $_GET['_download'] && preg_match('/MSIE/', $_SERVER['HTTP_USER_AGENT'])) {

와 같이 수정해 주십시오.

본문의 패치들은 이 변경사항을 반영하여 다시 올려 놓았습니다.

조셀

일단 환경은 CentOS4.6에서 기본적인 APM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최근에 제작된 패치로 웹 메일서버를 재설치 하였습니다.
메일환경은 qmail+vpopmail+dovecot+mysql 로 설치 되어 있습니다.

패치 2개를 실행 후...

$rcmail_config['locale_string'] = 'kr';
$rcmail_config['default_charset'] = 'euc-kr';

이부분만 처리하면 한글부분은 깔끔하게 해결됩니다.(첨부파일 링크 제외)

첨부파일 링크를 해서 메일 확인을 누르고 다운을 받기위해 링크를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옵니다. mod_url은 모듈은 내렸습니다.


## 캡쳐화면 링크해 보냅니다. ##
http://www.zosel.net/cp1.jpg // 페이지 표시 할수 없음
http://www.zosel.net/cp2.jpg // 에러 메세지 나옴

번거롭지만 꼭 좀 부탁 드리겠습니다.

김정균

패치 올렸습니다. roundcubemail-0.1.1-UGLY-IE.patch 파일을 받으시면 됩니다. 이 문제는 오로지 IE에서만 발생하는 UGLY-IE 패치입니다. 이건 제작자 탓하기는 좀 그런데, 이 패치에 포함된 SSL관련 패치는 제작자가 좀 무심했었듯.. 이건 리포팅하면 받아질 것 같군요.

조셀

oops님, 이번에 만들어 주신 파일 패치를 적용하였는데...
한글 첨부가 되지 않네요.~
(첨부는 되지만, 다운로드 링크 활성화 되지 않습니다.)

## 아래 결과 ##
[root@ns html]# patch -p0 < roundcubemail-0.1.1-multibyte-attach.patch
patching file roundcubemail-0.1.1/program/include/rcube_imap.inc
patching file roundcubemail-0.1.1/program/include/rcube_shared.inc
patching file roundcubemail-0.1.1/program/lib/Mail/mime.php
patching file roundcubemail-0.1.1/program/lib/Mail/mimePart.php
patching file roundcubemail-0.1.1/program/lib/imap.inc
patching file roundcubemail-0.1.1/program/lib/is_utf8.class.php

## 위 적용 완료 후 한글 첨부파일을 웹메일로 보내고 받기함 //
한글 첨부에 링크가 활성화 되지 않음.
원인이 뭘까요?

김정균

일단 어떻게 안되는지를 보여 주셔야 할 것 같고요. (제가 인지하지 못한 부분일 수도 있으니까요.

그리고, config/main.inc.php 에서

$rcmail_config['locale_string'] = 'kr';
$rcmail_config['default_charset'] = 'euc-kr';

두가지 설정이 되어 있나요?

그리고, mod_url 설정 되어 있으면, rcube 에서는 off 시키도록 하세요. UTF8 로 오는 메시지가 변경되면 서버에서는 UTF8로 인코딩 하고 실제 넘어온 것은 EUC-KR이 되면 엉뚱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셀

너무 고생 많으셨습니다.
저도 손꼽아 기다리고 있었답니다. ^_^
이글 보는 즉시 바로 적용해 볼려고 합니다. ^^
수고 많으셨습니다.
그리고 감사합니다.

현호

너무고생하셨습니다. 감사드립니다~

낼출근하면 언능적용해봐야겠네요~^^

김정균

좀 삽질 하느라 오래 걸렸습니다. patch는 지난주에 만들었는데, UTF8 체크하는 부분을 만들다 라이센스 문제로, 아에 KSC5601 이라는 pear package 까지 만들어 버렸습니다. KSC5601 <-> Unicode (UCS4/NCR) <-> UTF8 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하며, 예전에 만들어 놓았던 꾸질한 것들의 성능도 상당히 개선 시켰습니다.

이런 딴짓하느라 좀 오래 걸렸고, 오늘 마침 테스트 하다가, 이 패치 때문에, 첨부 이미지가 출력이 되지 않는 버그까지 잡아서 올립니다.

수정하면서 코드를 보다 보니, 열심히 만들었구나 하는 생각은 드는데, multibyte 관련 지원은 거의 없다고 보는 편이 맞을 것 같더군요. 아니 웹/메일상에서의 multibyte 관련 지식이 거의 없는 듯 싶은 느낌이 들었습니다.

조셀

예~ 감사합니다.
roundcube mail 이 고객쪽에 제공될 웹메일이라...^_^
이부분만 해결되면 한글 유저들에게 정말 유익한 웹메일이 될 것 같습니다.
항상 힘써 주셔서 다시 한번 감사 말씀 드립니다.

조셀

안녕하세요.
오늘도 혹시나 하는 맘에 들어 왔습니다.
아~ 수정한 것 같다고 하니, 한편으로 마음이 편안해 집니다.
수정패치는 언제 나오나요. 수정된 파일만 전달 받았으면 하는데...
혹시 가능 하다면 부탁 드리겠습니다.
zosel@zosel.net

김정균

다음주 내로는 나올 겁니다. UTF-8 관련 처리하는 부분의 코드가 라이센스가 걸려 배포하기가 좀 그래서 아예 새로 작성하고 있습니다. :-)

Posted
Filed under Tech/프로그래밍
상용 프로그램을 판매하는 아니, 무언가를 판매하는 회사에는 C/S 조직이 있기 마련입니다. 후진국이나 작은 회사가 아니고서는 customer 의 반응을 무시한다는 것은 곧 자멸하는 것과 마찬가지이기 때문입니다. (덕분에 제 아내도 C/S로 얼마동안 밥벌이 하기도 했습니다.)

제가 오픈소스 활동을 하면서 느낀점은 대부분의 오픈소스 개발자들에게 이 개념이 전혀 없다는 것입니다. 물론 회사에서 개발자가 C/S 개념을 가질 필요는 없을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오픈 소스의 경우 프로젝트 리더가 곧 CEO와 마찬가지 이기 때문에 결국에는 개발자가 C/S 개념을 가져야 할 수도 있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오픈 소스 활동을 하는 이유는 이상적인 취미나 재미를 위해서는 절대 아닙니다. 제가 밥벌어 먹는데 상당히 중요한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오픈소스 활동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저 말고도 시작은 이상적인 취미나 재미를 위해서 일지 모르겠지만, 그 프로젝트를 5년이상 유지하는 개발자의 경우 이상적인 부분말고 분명히 저와 같이 물질적인 보상 때문에 유지하는 경우가 더 많을 거라 생각 합니다. 그 물질적인 보상이 직접적이지는 않더라도 말이죠.

그렇다면 프로젝트의 산물은 회사의 Product 와 같은 개념이 됩니다. Product 를 더 많이 팔아 이윤을 남기기 위해서, 또는 내 프로젝트의 산물이 널리 사용해 져서 내 name value 가 높아져 내 연봉에 도움이 되게 하기 위해서는 결국에는 사용자는 customer 가 되게 됩니다. 이 customer 의 feed back 을 아주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죠.

하지만, 대부분의 open source 개발자들은 하잖은 일부 유저들이 올린 패치나 의견을 아주 더러운 기분이 들게끔 하면서 거부를 합니다. 비록 그들이 무시하지 않았다고 항변을 하더라도, 권위적이고 아주 귀찮다는 듯이 또는 표준이나 규약을 핑계삼아.. 너무나 뻔히 보이는 거부 핑계를 대는 것이죠. nateon 이 리눅스용 client 지원 요청에 대응하는 것과 비슷하겠지만 그래도 nateon 의 답변은 아주 정중하죠 ^^

제가 개발을 잘하는 것은 아니지만, 나름대로 필요한 것은 만들어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되고, 또한 이렇게 만든 것을 open 하여 공유를 하고 있는 입장에서, 다른 개발자들의 행태를 보면 좀 이해를 할 수가 없습니다.

제가 생각하기에는 가장 중요한 것은 조화입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개발자들은 조화 보다는 제약을 좋아하는 것 같습니다. 더군다나 그 제약이라는 것에 대하여 제가 받은 느낌들은 대부분 거절을 하기 위한 핑계로 보인다는 것이고요. (그래서 저는 개인적으로 RMS를 좋아하지 않습니다. 제게는 꼭 파쇼처럼 보이거든요)

어떠한 의견이 제시되면, 왜 이런 의견이 제시가 되었을까? 난 이해가 되지 않지만 이런 의견이 제시가 되었다면 문제가 있는 것이 아닐까? 라는 진행이 되는 곳을 한번도 만나보지 못했다는 것이 이해가 되지를 않는 군요.

제목은 거창하게 적었습니다만.. 결국에는 푸념이 되고 마는..

P.S.
이 글은 제가 패치를 제출한 어떤 프로젝트의 개발자와 설전을 하다가 관점의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 짜증나는 개발자 때문에 적는 글입니다. 모든 개발자가 다 그렇지는 않을거라 믿습니다. :-)
2008/04/20 05:37 2008/04/20 05:37
kss

c/s의 개념을 오픈소스 개발자들이 갖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일 것 같습니다. 일반적인 개발자들도 그렇고요.

대체로 프로젝트 초기 단계에서는 외부로부터의 기능추가/수정 요청이나 패치에 대해 매우 환영하고 수용적이지만 시간이 갈수록 어느정도 프로젝트가 안정화되고 뭔가를 추가하는 것보다는 더이상 뺄 것이 없는 상태를 지향하게 된다면 보수적으로 바뀔 수밖에 없습니다. 그시점을 좀더 넘어간다면 외부로부터의 input이 귀찮을(?) 수도 있는 것이지요.

결국엔 어떻게 접근하느냐의 문제로 귀결되겠지만 사람과 사람사이의 문제가 아닐까 합니다. 오픈소스 프로젝트 개발자들에게 조금더 개방적이고 수용적인 자세를 기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하지만 그것이 must가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오픈소스라고 해서 특별히 다른 잣대를 댈 필요는 없다는 것이죠... ㅎㅎ

김정균

그걸 잘 알기 때문에 다른 오픈소스에의 참여가 망설여 진다는 것이죠. 참여해서 내가 해야할 일 보다 다른 무언가를 더 노력해야 한다는 것이 과연 가치있는 일을 하는 것인가 나 자신에게 반문을 하는 것입니다. 다만 그 작업이 별로 가치있을 것 같지 않다는 생각이 더 우세하니 문제겠죠. ^^

Posted
Filed under Tech/Tip & Trick
PXE 시스템을 운영할 때 DHCP 의 Mac Address binding 은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설치 자동화를 위해서는 Mac Aaddress 와 IP address 를 매치해 놓는 것이 중요한데, 이 경우 등록되지 않는 Mac Address 를 거부해야 할 일들이 가끔 존재합니다.

ISC 의 Dhcpd 의 경우에는 이를 기본으로 지원을 하는데, MS 의 Dhcpd 는 이를 지원하지를 않습니다. 우리 회사에서 ISC Dhcpd 와 MS Dhcpd 가 동시에 운영을 하고 있어서 항상 PXE 설치시에는 MS Dhcpd 를 내리고 설치하는 불편함이 있었는데, MS 의 DHCP Team Blog 에서 Mac Address 기반 filtering dll 을 비 공식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mackere2 라는 thrid party dll 을 이용하고 있었는데, 이걸 한번 이용해 봐야 겠군요.

DHCP Team Blog:
http://blogs.technet.com/teamdhcp/archive/2007/10/03/dhcp-server-callout-dll-for-mac-address-based-filtering.aspx
설치 파일 및 문서:
http://blogs.technet.com/teamdhcp/attachment/2098336.ashx
2008/01/09 19:12 2008/01/09 19:12
Posted
Filed under Tech/Tip & Trick
Mindterm 에 대해서 아시는 분들도 꽤 있을 거라 생각됩니다. google 검색에서 검색을 해 봐도 한글 문서가 꽤 나오니까요. 대부분의 문서가 2.1에 대한 것이기는 하지만요.

저도 mindterm을 요긴하게 사용하곤 합니다. Mindterm 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으로 다음의 경우가 있습니다.

1. PC 에 ssh client 가 설치되어 있지 않고, 새로 설치할 수 없는 경우나 귀찮을 경우 2. X11 forwarding 을 사용해야 하는데, 내가 사용하는 ssh client 가 X11 forwarding 을 지원하지 않을 경우 3. SSH Tunnel 을 사용하고 싶을 경우


보통은 1번의 이유로 많이 사용을 하게 될텐데.. 기존의 2.1 환경에서는 한글이 제대로 지원이 되지 않던 문제가 있습니다. 일단 출력은 되는데, 겹쳐서 출력되는 문제나, 한글 입력이 되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그래서 아주 비상 사항이 아니면 사용을 하지 않았는데, 올해 초 3.1.2가 나와서 테스트를 해 보려고 하다가 까먹고 지금에야 와서 만지게 되었는데, 한글 입출력이 아주 훌륭하게 되더군요. 이젠 client 로 사용을 해도 무방할 정도로 Xterm mode 와 Ansi mode 를 잘 지원을 합니다.

다음은 Mindterm 3.1.2 를 설치해서 사용하는 방법을 기술합니다.

1. 라이센스 Mindterm 의 라이센스는 개인 사용자에 한하여 무료입니다. 이 무료 버전은 설치된 서버로만 SSH 연결을 할 수 있습니다. 유료 버전은 아마도 다른 서버로 직접 연결이 가능한 것으로 기억이 납니다. 2. 다운로드 http://www.appgate.com/products/80_MindTerm/110_MindTerm_Download/index.php 위 URL 에서 binary 와 source code, 문서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빌드할 일은 없으니 바이너리 버전을 다운로드 받습니다. Mindterm 은 Java Applet 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Client 에 설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웹서비스를 할 수 있는 곳에서 받도록 합니다. 3. 압축을 해제하도록 합니다. Linux 에서는 unzip 명령을 이용하면 됩니다. shell> unzip mindterm_3.1.2-bin.zip inflating: mindterm-3.1.2/LICENSE.txt inflating: mindterm-3.1.2/README.txt inflating: mindterm-3.1.2/THIRD_PARTY_SW.txt inflating: mindterm-3.1.2/Applet.txt inflating: mindterm-3.1.2/Settings.txt inflating: mindterm-3.1.2/RELEASE_NOTES.txt inflating: mindterm-3.1.2/mindterm.jar 4. 압축을 푼 후에 필요한 파일은 mindterm.jar 1개만 있으면 됩니다. 이 파일을 웹상의 경로에 잘 위치 시킨 후에, applet 을 호출할 수 있는 웹 문서를 다음과 같이 생성해 주도록 합니다. <!DOCTYPE html PUBLIC "-//W3C//DTD XHTML 1.0 Transitional//EN" "http://www.w3.org/TR/xhtml1/DTD/xhtml1-transitional.dtd"> <html xmlns="http://www.w3.org/1999/xhtml" lang="ko" xml:lang="ko"> <head> <title>Mindterm WEB SSH Gate</title> <style type="text/css"> h1 { font-size: 25px; font-family: tahoma, sans-serif; font-weight: bold; text-align: center; margin-top: 50px; } </style> </head> <body> <h1>Mindterm WEB SSH Gate</h1> <applet archive="mindterm312.jar" code="com.mindbright.application.MindTerm.class" width="0" height="0"> <param name="cabinets" value="mindterm312.cab" /> <param name="protocol" value="ssh2" /> <param name="sepframe" value="true" /> <param name="debug" value="true" /> <param name="bg-color" value="black" /> <param name="fg-color" value="white" /> <param name="cursor-color" value="yellow" /> <param name="encoding" value="euc-kr" / > <param name="font-name" value="Monospaced" / > <param name="exit-on-logout" value="true" / > </applet> </body> </html> 5. 브라우저로 방금 생성한 웹문서로 접근을 해 봅니다. 주의할 것은 웹브라우징을 하는 PC 에 Java JRE 나 JVM 이 설치가 되어 있어야 합니다. JRE 6 에서는 잘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2007/12/13 18:28 2007/12/13 18:28
Posted
Filed under Tech/Tip & Trick
GeoIP 를 커널에서 사용하기 위하여 커널을 다시 빌드하는 경우가 많은 듯 싶어, 기존의 커널에 geoip module 만 빌드하는 스크립트를 공개합니다. 모듈만 빌드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BuildingKernelModules

의 문서를 참고하면 됩니다. 굳이 커널을 모두 빌드할 필요는 없지요. 이 과정도 귀찮거나.. 또는 영어가 어려우신 분들은 첨부된 파일을 받아서 다음의 과정을 거치면 간단하게 해결이 될 수 있을 겁니다.

1. build script download RHEL/CentOS 4/5 용이 구분이 되어 있으니 구분하여 받으시기 바랍니다. 2. 압축 해제 임의의 디렉토리에서 압축을 해제합니다. 압축을 해제하면 geoip 라는 디렉토리가 생성됩니다. shell> tar xvfpz geoip-patch-o-matic-cent5.tar.gz 3. 커널 빌드 shell> cd geoip shell> ./geoip-check


와 같이 하면 빌드가 되고 등록까지 됩니다. 커널 업데이트에 대비하여 geoip-check 를 다음과 같이 이용할 수도 있습니다. rc.local 에 다음과 같이 등록을 해 놓으면 커널이 변경이 되어 geoip 모듈이 없을 경우 빌드를 하고 올리도록 할 수 있습니다.

/YOUR_PATH/geoip-check >& /dev/null [ $? -eq 0 ] && iptables -A INPUT -m geoip --src-cc CN -j REJECT


파일 받기



RHEL 6 또는 CentOS 6의 경우에는 RPM으로 아예 묶어 놓았으니 이를 이용하시면 되겠습니다.

1. http://mirror.oops.org/pub/AnNyung/2/AnNyung.repo 를 /etc/yum.repos.d 에 다운로드
2. yum clean all
3. yum install kmod-geoip
4. yum update iptables
5. yum install GeoIP
6. geoip-csv2bin

이렇게까지 하시면 사용을 하실 수 있습니다. 6번의 경우 매달 한번씩 실행해 주시면 geoip data가 갱신이 됩니다.
2007/11/22 15:56 2007/11/22 15:56

작성자: 주인장 디지문(http://www.digimoon.net/) 일전에 커널과 iptables 소스를 새로 받아다가 완전히 새로 컴파일하여 geoip 모듈을 탑재하는 걸 포스팅한 적이 있는데 이번엔 기존 커널 & iptables rpm 패키지를 그대로 유지한 채 geoip 모듈만 리빌드하는 방법을 포스팅합니다. rpm으로 기본 탑재된 커널도 충분히 재구실을 하는지라... 사실 커널 소스를 받아 컴파일해서 설치하는 건 요즘 들어선 불필요...

김정균

안녕 리눅스 2에서는 kmod-geoip 로 커널 모듈을 지원합니다. yum install kmod-geoip 하시면 되겠습니다.

움트트움트

저도 so파일이 안생기네요...흠...
CentOS 4, CentOS 5 둘다 테스트 해보는데
똑같은 증상입니다.
왜그런걸까요...?
iptables v1.3.5: Couldn't load match `geoip':/lib/iptables/libipt_geoip.so: cannot open shared object file: No such file or directory

김정균

이 에러는 iptables의 geoip extension이 없어서 발생하는 문제 입니다. 이 글을 iptables의 geoip extension을 알아서 준비하셨거나 하실 거라고 가정을 하고, geoip kernel netfilter module을 빌드하기 위한 방법을 적은 것입니다.

즉, iptables 를 geoip extension을 넣어서 새로 빌드 하셔야 한다는 얘기 입니다. geoip extension은 patch-o-matics 에서 찾으실 수 있는데, 요즘 geoip extension이 있는 사이트가 죽은 모양인지 연결이 안되서, 인터넷을 뒤져야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

즉, iptables에서 geoip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ipbltales geoip extension과 kernel netfilter iptables module 이 필요하고, 이 글은 후자(kernel module)을 빌드하기 위한 글 입니다. (즉, iptblaes에서 geoip를 사용하기 위한 전반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것이 아닙니다.)

http://zosel.idtail.com/

안녕하세요. 오랫만에 찾아 뵙습니다. ^^;;
그동안 잘 지내셨죠.
예전에 얼핏 말씀드린 VPN 서비스는 잘 런칭이 되었습니다.
qos부분 역시 브릿지 방식의 cbq로 약간의 python과 radius server db 연동으로
잘 해결 되었어요. ^^ (oops님의 글이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_ _] )


오늘은 최근에 또다른 이슈가 생겨서 방문하게 되었습니다.
DDOS 존을 구축하는 임무를 수행하고 있는데요.
syn_proxy서버 구축 + iptables connlimit를 이용한 세션 제어까지는 마무리 하였습니다.(모두 브리지방식 입니다. ^^)

추가로 해외망 차단 부분을 목적지 아이피 별로 제어를 하고 싶은데요.
바로 적용 되지는 않는듯합니다.
일단 램이 사양이 높아 PAE로 DKMS방식으로 yum 업그레이드 한 상태입니다.
이상태에서 스크립트 내용을 분석해서 필요한 부분만 적용을 해도 .so 파일이 생성되지 않습니다.;;

어떤 부분이 문제가 될까요?

drawhan

iptables -L로 리스트를 확인해봐도 안나오던데.... 어떻게 확인해봐야 할까요?

김정균

GeoIP CentOS 5 용을 업데이트 했습니다. CentOS 5.2 에서 모듈 체크 제대로 못하는 문제와 GeoIP kernel module 의 버그를 fix해서 다시 올립니다.

단풍

geoip 제대로 동작을 하나요?

저 같은 경우는 geoip 데이터베이스에 해당 ip 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동작 하지 않더군요.

예를 들어서 중국 IP 대역을 차단 했는데 국내 몇 IP 도 차단되어서
이 기능을 꺼 놓고 사용 하는대요
(geoip 데이터베이스는 업데이트 해줬습니다.)

김정균

GeoIP Lite 의 경우 국가 database 의 정확성은 90% 라고 나옵니다. 실제 상용을 사용해 본적이 없어서 근거는 없고요 ^^;

그래서 저는 libkrisp 를 만들어서 국내 IP는 이걸 이용하고, libkrisp 가 GeoIP 연동을 하도록 하여, 국외의 IP는 GeoIP database를 사용하도록 해서 사용합니다.

GeoIP 의 정확성에 대해서는 저도 장담을 할 수는 없지요. 국내 IP가 geoiplookup 에서 중국 IP로 나온다면.. GeoIP의 문제가 아니라 GeoIP database 의 문제인 것이겠죠. ^^;

Posted
Filed under Tech/Tip & Trick
요 몇년간, 웹 표준이라는 단어에 대하여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저 역시 2년전 부타 웹 표준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고, 새로 제작하는 페이지들은 꼭 validator 를 통과 시키고 있기는 합니다만.. 아무래도 브라우저별 또는 OS마다 렌더링의 차이에 의한 부분에 대하여서는 어떻게 할 방법이 없었죠. 모든 OS 와 모든 브라우저를 모두 확인하지 않는 한은 말이죠.

그러다 보니, 제가 사용하는 OS와 브라우저만을 고려를 하게 되다보니, Any Browser 를 지향하면서도 제한된 Any Browser 이기가 일수였습니다.

이런 현실 속에서 서핑 중에 Screen Shot 이라는 일본의 OS/브라우저별 출력 이미지를 보여주는 사이트를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유료 회원을 위한 제약이 있기는 하지만, 대략적으로 확인을 하는데는 크게 지장이 없군요.

모르시는 분들은 애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2007/11/19 04:22 2007/11/19 04:22